ComputerScience

8.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Subnet Mask(서브넷 마스크) : 서브넷은 말 그대로 부분망이다. 메인 네트워크가 아닌 가공을 통해 부분적인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 주어진 IP주소를 네트워크 환경에 맞게 나누어 주기 위해 이진수의 조합으로 구성한다. 기본적으로 클래스들의 Default 서브넷 마스크 값은 각각의 네트워크 부분과 같다. 서브넷 마스크는 주소를 나누지 않더라도, 항상 IP주소와 붙어다닌다. 주어진 네트워크를 나누지 않고 다 쓰는 경우에는 Default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면 된다. 하지만 가공해서 쓰는 경우는 서브넷 마스크를 조금 더 고쳐서 사용한다. 서브넷 마스크의 성질 ▶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부분이고, 어디까지가 호스트 부분인지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Ex) 210.100.100.1 이 IP주소이고, 서브넷 마..

7. IP주소(IP Address)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해 모든 장비들을 구분해주기 위해서 만들어 낸 것이 IP Address. IP Address는 32bit에 2진수로 이루어져 있다. ▶ 네트워크 부분(Network Part) : 하나의 PC가 데이터를 뿌렸을 때, 그 데이터를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도 받을 수 있는 영역. 브로드 캐스트 영역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호스트 부분(Host Part) : 각각의 PC 또는 장비를 일컫는다. 한 네트워크(브로드캐스트 영역)에서는 네트워크 부분은 같고, 호스트 부분은 달라야 정상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Ex) 한 PC방에서 쓰는 IP주소가 203.240.100.1 ~ 203.240.100.255 이면 네트워크 부분은 203.240.100 이고, 호스트 부분은 1~255이다. IP에는 5..
6. 네트워크 장비 - 허브(HUB), 브리지(Bridge)&스위치(Switch), 라우터(Router)
허브(HUB)는 멀티포트(Multiport) 리피터(Repeater)라고 말할 수 있다. 여러 포트를 가지고 있는 허브는 한 포트로 들어온 데이터를 그대로 나머지 모든 포트로 뿌려준다는 것이다. 허브의 종류에는 이용 방식에 따른, 이더넷용과 토큰링용이 있다. 또, 속도에 따른 그냥 허브와 패스트 허브가 존재한다. 리피터(Repeater) UTP 선은 장비와 장비 사이의 100m가 넘어가는 경우에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이를 중간에서 들어온 데이터를 다른 쪽으로 전달해주는 리피터를 사용하면, 100m 이상의 거리에서도 통신이 가능하게 해 준다. 그러나 최근에는 허브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가격이 싸기 때문에 더 이상 리피터 장비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더넷 허브는 CSMA/CS의 적용을 받아, 같은 허브에 연..

5. 네트워크 장비 - 랜카드
NIC(Network Interface Card) 보통 랜카드로 불리며 주변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유저의 데이터를 케이블에 실어서 허브나 스위치, 혹은 라우터 등으로 전달해주고 자신에게 온 데이터를 CPU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IRQ(interrupt Request) 넘버의 세팅이나 BaseMemory 등의 세팅이 필요했다. 데이터가 들어오면 랜카드는 컴퓨터의 CPU에 자기가 가지고 있던 IRQ를 이용해서 인터럽트를 걸게 된다. CPU에서는 하던 일을 멈추고 IRQ를 확인해서 랜카드에서 일을 해줄 것을 요청받는다. 그럼 랜카드는 BaseMemory 쪽으로 데이터를 보내서 작업을 시작한다. 요즘에는 IRQ를 자동으로 지정해 주지만, 예전에는 안 쓰는 IRQ를 찾아 ..

4. Protocol (프로토콜) - TCP & UDP
Protocol (프로토콜) 컴퓨터끼리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서로 간의 통신 규약 또는 통신 방식에 대한 약속이다. 두 사람이 서로 대화를 한다고 가정하면, 같은 언어를 사용해야만 대화가 가능하다고 생각하면 쉽다. TCP TCP(Transfer Control Protocol)는 트랜스포트 층에 해당하며, 신뢰성 있는 바이트 스트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바이트 스트림 서비스란 용량이 큰 데이터를 보내기 쉽게 TCP 세그먼트라고 불리는 단위 패킷으로 작게 분해하여 관리하는 것을 말하고, 신뢰성 있는 서비스는 상대방에게 보내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TCP/IP는 패킷 통신 방식의 인터넷 프로토콜인 IP(Internet Protocol)와 전송조절 프로토콜인 TCP(Transmission Control ..

3. OSI 7 Layer (OSI 7 계층)
OSI 7 Layer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 Layer) 통신에 관한 국제적인 표준기구인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ardization(ISO)라는 곳에서 만든 OSI 7 Layer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개의 단계로 나누었다. 이는 통신을 단계별로 표준화하여 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첫째, 데이터 흐름이 한눈에 보인다. -> 우리가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부터 맨 마지막 피지컬 계층까지를 나누어 놓으니까 어떻게 데이터가 날아가는지 보기 쉽다. 둘째, 네트워크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해결하기가 편리하다. -> 7개의 작은 문제로 나눈 후 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훨씬 쉽다. 예를 들어 이메일이 안 보내 지는 경우 pi..

2. MAC Address와 캐스트
MAC Address : Media Access Control Address의 준말로, 기기 서로를 구분하는 일종의 주소이다. 평소 우리는 IP주소만 있으면 모든 통신이 일어날 것 같지만, IP주소를 MAC으로 바꾸는 절차인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진다. MAC 주소에서 앞쪽 6개의 16진수가 벤더, 즉 생산자를 나타내는 코드로 OUI(Organizational Unique Identifier)라고 한다. 앞쪽 6자리의 16진수를 통해 어느 회사에서 만든 제품인지 알 수 있으며, 나머지 6자리의 수는 회사에서 장비에 분배하는 Host Identifier, 다른 말로 시리얼 넘버를 뜻한다. 예를 들어, 00-XX-C6-6B-XX-XX라고 가정하면, 0..

1. 네트워크(Network)와 케이블
네트워크 네트워크는 Net+Work의 합성어로써 컴퓨터들이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그물망처럼 연결된 통신 이용 형태를 의미한다. IEEE(국제 전기 전자 공학회)에서는 네트워크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몇 개의 독립적인 장치가 적절한 영역 내에서 적당히 빠른 속도의 물리적 통신 채널을 통하여 서로가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데이터 통신체계”. 그러나 우리가 주로 다루려는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 일 것이다. 컴퓨터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공유하고, 프로세스 분배를 통한 성능 향상(자원 공유), 엔터테인먼트 등의 목적을 가지고 구성되었다. 결국 전세계적으로 수억 개의 컴퓨팅 장치를 TCP/IP로 연결한 인터넷이 형성되었고, 그것이 지금의 4차산업혁명을 할 수 있게 하는 큰 역할이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