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Network Interface Card)
보통 랜카드로 불리며 주변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유저의 데이터를 케이블에 실어서 허브나 스위치, 혹은 라우터 등으로 전달해주고 자신에게 온 데이터를 CPU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IRQ(interrupt Request) 넘버의 세팅이나 BaseMemory 등의 세팅이 필요했다.
데이터가 들어오면 랜카드는 컴퓨터의 CPU에 자기가 가지고 있던 IRQ를 이용해서 인터럽트를 걸게 된다. CPU에서는 하던 일을 멈추고 IRQ를 확인해서 랜카드에서 일을 해줄 것을 요청받는다. 그럼 랜카드는 BaseMemory 쪽으로 데이터를 보내서 작업을 시작한다. 요즘에는 IRQ를 자동으로 지정해 주지만, 예전에는 안 쓰는 IRQ를 찾아 헤맸어야 했다.
랜카드에는 종류가 다양하다.
이더넷용 랜카드, 토큰링용 랜카드 FDDI, ATM용 랜카드 등
데스크톱 랜카드와 다르게 PCMCIA방식으로 노트북용 랜카드가 따로 있다.
하는 일은 다 똑같지만, 자신이 가지고 있는 PC에 맞는 랜카드를 구입하여야 한다.
또한, PC의 버스 방식을 생각하여야 한다.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다니는 길을 버스라고 하는데, 크게 3가지로 나뉜다. PCI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식이고, ISA는 PCI 이전까지 많이 사용하던 방식이다. EISA는 서버급 PC에서 사용했던 방식이다.
요즘은 100Mbps, 1 Gbps용용 랜카드가 대부분이다.
10 Mbps -> 1초에 10,000,000bit -> 1초에 1MB 정도의 파일 전송
하지만 순수한 데이터에 캡슐화가 되고 Overhead가 있기 때문에 실제로 이런 속도가 나오지 않는다.
'ComputerScience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IP주소(IP Address) (0) | 2020.07.20 |
---|---|
6. 네트워크 장비 - 허브(HUB), 브리지(Bridge)&스위치(Switch), 라우터(Router) (0) | 2020.07.15 |
4. Protocol (프로토콜) - TCP & UDP (0) | 2020.07.15 |
3. OSI 7 Layer (OSI 7 계층) (0) | 2020.07.15 |
2. MAC Address와 캐스트 (0) | 2020.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