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thyo
루시오의 Devlog
Roothyo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92)
    • ComputerScience (56)
      • 자료구조 (1)
      • 알고리즘 (6)
      • 네트워크 (12)
      • 코딩테스트 (34)
      • AI & ML (1)
      • BlockChain (1)
      • Security (1)
    • Programming Language (8)
      • JavaScript (8)
      • Python (0)
    • 서비스개발(Web, App) (18)
      • Front-End (2)
      • Back-End (8)
      • Cloud Server (2)
      • DevOps (4)
    • 프로젝트 (9)
      • UNY (4)
      • ThrowOrNot (4)
      • MoA (1)
    • 잡담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클라우드서버
  • 비디오광고
  • 코딩테스트
  • vmap
  • Socket.io
  • 알고리즘
  • 백준
  • js
  • Nest.js
  • 네트워크
  • nodejs
  • chat
  • Vast
  • Python3
  • level2
  • Node
  • OpenVidu
  • github
  • 완전탐색
  • JavaScript
  • Redis
  • TLS
  • 코테
  • FRONT-END
  • VPAID
  • 프로그래머스
  • node.js
  • 네트워크공부
  • Python
  • 애자일프로젝트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Roothyo

루시오의 Devlog

7. IP주소(IP Address)
ComputerScience/네트워크

7. IP주소(IP Address)

2020. 7. 20. 15:17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해 모든 장비들을 구분해주기 위해서 만들어 낸 것이 IP Address.

IP Address는 32bit에 2진수로 이루어져 있다.

▶ 네트워크 부분(Network Part) : 하나의 PC가 데이터를 뿌렸을 때, 그 데이터를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도 받을 수 있는 영역. 브로드 캐스트 영역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호스트 부분(Host Part) : 각각의 PC 또는 장비를 일컫는다.

 

한 네트워크(브로드캐스트 영역)에서는 네트워크 부분은 같고, 호스트 부분은 달라야 정상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Ex) 한 PC방에서 쓰는 IP주소가 203.240.100.1 ~ 203.240.100.255 이면

     네트워크 부분은 203.240.100 이고, 호스트 부분은 1~255이다.

 

IP에는 5개의 클래스가 존재한다. 상용 3개, 멀티캐스트용, 연구용으로 나뉜다.

 

Class A : 맨 앞 bit가 0이 나와야 하고 나머지 bit의 0이나 1로 표현 가능하다. 앞 8bit가 네트워크 부분을 나타내고, 나머지 24bit가 호스트 부분을 나타낸다는 약속이다.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범위는 0.0.0.0과 127.XXX.XXX.XXX를 제외한 1.0.0.0 ~ 126.255.255.255이다. 사용 가능한 호스트 수는 네트워크가 13.0.0.0일때, 13.0.0.0(네트워크를 표현)과 13.255.255.255(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제외한 (16,777,216 – 2 )16,777,214대이다.

Class A

Class B : 맨 앞 bit가 10이 나와야 하고 나머지 bit의 0이나 1로 표현 가능하다. 앞 16bit가 네트워크 부분을 나타내고, 나머지 16bit가 호스트 부분을 나타낸다는 약속이다.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범위는 128.0.0.0 ~ 191.255.255.255이다. 사용 가능한 호스트 수는 네트워크가 13.123.0.0일때, 13.123.0.0(네트워크를 표현)과 13.123.255.255(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제외한 (65,536 – 2) 65,534대이다.

Class B

Class C : 맨 앞 bit가 110이 나와야 하고 나머지 bit의 0이나 1로 표현 가능하다. 앞 24bit가 네트워크 부분을 나타내고, 나머지 8bit가 호스트 부분을 나타낸다는 약속이다. 실제적으로 사용되는 범위는 192.0.0.0 ~ 223.255.255.255이다. 사용 가능한 호스트 수는 네트워크가 13.123.111.0일때, 13.123.111.0(네트워크를 표현)과 13.123.111.255(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제외한 (256 – 2 ) 254대이다.

Class C

Class D : 멀티캐스트용 IP주소 (224.XXX.XXX.XXX~239.XXX.XXX.XXX)

Class E : 연구용 IP주소 (240.XXX.XXX.XXX~255.XXX.XXX.XXX)

 

IP주소를 배정할 때는 그 네트워크에 몇 개의 호스트가 접속이 가능한 지를 확인한 후에, 배정하는 주소가 이 호스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예를 들어 300개의 호스트가 있는 경우에는 Class C를 배정하면 안된다는 소리다.

 

추후, IPv4와 IPv6 업데이트

'ComputerScience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STP)  (0) 2020.07.21
8.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0) 2020.07.20
6. 네트워크 장비 - 허브(HUB), 브리지(Bridge)&스위치(Switch), 라우터(Router)  (0) 2020.07.15
5. 네트워크 장비 - 랜카드  (0) 2020.07.15
4. Protocol (프로토콜) - TCP & UDP  (0) 2020.07.15
    'ComputerScience/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9.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STP)
    • 8.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 6. 네트워크 장비 - 허브(HUB), 브리지(Bridge)&스위치(Switch), 라우터(Router)
    • 5. 네트워크 장비 - 랜카드
    Roothyo
    Roothyo
    개발 관련 지식 포스팅/ 잡담 블로그 입니다. 반갑습니다! (github : https://github.com/geun9716)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