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thyo
루시오의 Devlog
Roothyo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92)
    • ComputerScience (56)
      • 자료구조 (1)
      • 알고리즘 (6)
      • 네트워크 (12)
      • 코딩테스트 (34)
      • AI & ML (1)
      • BlockChain (1)
      • Security (1)
    • Programming Language (8)
      • JavaScript (8)
      • Python (0)
    • 서비스개발(Web, App) (18)
      • Front-End (2)
      • Back-End (8)
      • Cloud Server (2)
      • DevOps (4)
    • 프로젝트 (9)
      • UNY (4)
      • ThrowOrNot (4)
      • MoA (1)
    • 잡담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Node
  • 애자일프로젝트
  • vmap
  • Nest.js
  • 네트워크공부
  • Vast
  • TLS
  • 완전탐색
  • 코테
  • github
  • 네트워크
  • FRONT-END
  • node.js
  • chat
  • Python3
  • js
  • Python
  • 프로그래머스
  • 클라우드서버
  • VPAID
  • nodejs
  • Redis
  •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 백준
  • 비디오광고
  • Socket.io
  • JavaScript
  • OpenVidu
  • level2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Roothyo

루시오의 Devlog

ComputerScience/네트워크

9.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STP)

2020. 7. 21. 13:16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네트워크당 하나의 Root Bridge를 갖는다. Non root Bridge는 무조건 하나 씩의 Root port(Root와 연결된 링크의 포트)를 갖는다.

Segment(브리지 또는 스위치 간에 서로 연결된 링크)당 하나씩의 지정포트(Designated port)를 갖는다.

 

다음 단계로 순서를 정함

1.     누가 더 작은 Root Bridge ID를 가졌는가?

2.     Root Bridge까지의 Path Cost 값은 누가 더 작은가?

3.     누구의 BID(Sender BID)가 낮은가?

4.     누구의 포트 ID가 더 낮은가?

 

스패닝 트리 정보를 자기들끼리 주고받기 위해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 프레임을 사용.

 

Root BID, Root Path Cost, Sender BID, Port ID

-> 루트 브리지 찾기 및 설정.

-> BID가 낮은 것이 루트 브리지로 선정됨.

 

첫째,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두 개 이상의 경로가 있는 스위치(브리지) 네트워크에서 한 개의 경로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모두 막는다.

 

둘째, 사용하던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막았던 나머지 경로 중 하나를 열어준다. 루트 브리지는 Hello BPDU를 전송한다. Non Root Bridge는 받은 BPDU를 designated port로 다시 루트로 전달한다. Non root bridge들이 2초마다 Hello BPDU를 받지 못하면, 문제가 발생했다고 생각하고, 스패닝 트리를 재편성한다.

 

MAX Age(디폴트 20초)가 지나면, 변경을 시작한다. block되어 있던 포트로 BPDU는 받을 수 있기에 기존에 세그먼트가 끊기면,  block되어 있던 포트를 listen > learning > forwarding 순서로 변겨오디어 스패닝 트리가 구성된다.

'ComputerScience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라우터 (ROUTER)  (0) 2020.07.23
10. VLAN(Virtual LAN)  (0) 2020.07.21
8.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0) 2020.07.20
7. IP주소(IP Address)  (0) 2020.07.20
6. 네트워크 장비 - 허브(HUB), 브리지(Bridge)&스위치(Switch), 라우터(Router)  (0) 2020.07.15
    'ComputerScience/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1. 라우터 (ROUTER)
    • 10. VLAN(Virtual LAN)
    • 8.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 7. IP주소(IP Address)
    Roothyo
    Roothyo
    개발 관련 지식 포스팅/ 잡담 블로그 입니다. 반갑습니다! (github : https://github.com/geun9716)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