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thyo
루시오의 Devlog
Roothyo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92)
    • ComputerScience (56)
      • 자료구조 (1)
      • 알고리즘 (6)
      • 네트워크 (12)
      • 코딩테스트 (34)
      • AI & ML (1)
      • BlockChain (1)
      • Security (1)
    • Programming Language (8)
      • JavaScript (8)
      • Python (0)
    • 서비스개발(Web, App) (18)
      • Front-End (2)
      • Back-End (8)
      • Cloud Server (2)
      • DevOps (4)
    • 프로젝트 (9)
      • UNY (4)
      • ThrowOrNot (4)
      • MoA (1)
    • 잡담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node.js
  • chat
  • 코테
  • 완전탐색
  • VPAID
  • JavaScript
  • js
  • OpenVidu
  • Nest.js
  • Socket.io
  • 네트워크
  • 백준
  • 알고리즘
  • Vast
  • Redis
  • 비디오광고
  • vmap
  • 코딩테스트
  • nodejs
  • 네트워크공부
  • FRONT-END
  • TLS
  • Python
  • github
  • 애자일프로젝트
  • Python3
  • Node
  • level2
  • 프로그래머스
  • 클라우드서버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Roothyo
ComputerScience/코딩테스트

[백준 21608] 상어초등학교 - python

ComputerScience/코딩테스트

[백준 21608] 상어초등학교 - python

2022. 3. 17. 14:08
 

 상어 초등학교에는 교실이 하나 있고, 교실은 N×N 크기의 격자로 나타낼 수 있다. 학교에 다니는 학생의 수는 N2명이다. 오늘은 모든 학생의 자리를 정하는 날이다. 학생은 1번부터 N2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고, (r, c)는 r행 c열을 의미한다. 교실의 가장 왼쪽 윗 칸은 (1, 1)이고, 가장 오른쪽 아랫 칸은 (N, N)이다.

선생님은 학생의 순서를 정했고, 각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 4명도 모두 조사했다. 이제 다음과 같은 규칙을 이용해 정해진 순서대로 학생의 자리를 정하려고 한다. 한 칸에는 학생 한 명의 자리만 있을 수 있고, |r1 - r2| + |c1 - c2| = 1을 만족하는 두 칸이 (r1, c1)과 (r2, c2)를 인접하다고 한다.

  1. 비어있는 칸 중에서 좋아하는 학생이 인접한 칸에 가장 많은 칸으로 자리를 정한다.
  2. 1을 만족하는 칸이 여러 개이면, 인접한 칸 중에서 비어있는 칸이 가장 많은 칸으로 자리를 정한다.
  3. 2를 만족하는 칸도 여러 개인 경우에는 행의 번호가 가장 작은 칸으로, 그러한 칸도 여러 개이면 열의 번호가 가장 작은 칸으로 자리를 정한다.

예를 들어, N = 3이고, 학생 N2명의 순서와 각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이 다음과 같은 경우를 생각해보자.

학생의 번호좋아하는 학생의 번호
4 2, 5, 1, 7
3 1, 9, 4, 5
9 8, 1, 2, 3
8 1, 9, 3, 4
7 2, 3, 4, 8
1 9, 2, 5, 7
6 5, 2, 3, 4
5 1, 9, 2, 8
2 9, 3, 1, 4

가장 먼저, 4번 학생의 자리를 정해야 한다. 현재 교실의 모든 칸은 빈 칸이다. 2번 조건에 의해 인접한 칸 중에서 비어있는 칸이 가장 많은 칸인 (2, 2)이 4번 학생의 자리가 된다.

     
  4  
     

다음 학생은 3번이다. 1번 조건을 만족하는 칸은 (1, 2), (2, 1), (2, 3), (3, 2) 이다. 이 칸은 모두 비어있는 인접한 칸이 2개이다. 따라서, 3번 조건에 의해 (1, 2)가 3번 학생의 자리가 된다.

  3  
  4  
     

다음은 9번 학생이다. 9번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의 번호는 8, 1, 2, 3이고, 이 중에 3은 자리에 앉아있다. 좋아하는 학생이 가장 많이 인접한 칸은 (1, 1), (1, 3)이다. 두 칸 모두 비어있는 인접한 칸이 1개이고, 행의 번호도 1이다. 따라서, 3번 조건에 의해 (1, 1)이 9번 학생의 자리가 된다.

9 3  
  4  
     

이번에 자리를 정할 학생은 8번 학생이다. (2, 1)이 8번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과 가장 많이 인접한 칸이기 때문에, 여기가 그 학생의 자리이다.

9 3  
8 4  
     

7번 학생의 자리를 정해보자. 1번 조건을 만족하는 칸은 (1, 3), (2, 3), (3, 1), (3, 2)로 총 4개가 있고, 비어있는 칸과 가장 많이 인접한 칸은 (2, 3), (3, 2)이다. 행의 번호가 작은 (2, 3)이 7번 학생의 자리가 된다.

9 3  
8 4 7
     

이런식으로 학생의 자리를 모두 정하면 다음과 같다.

9 3 2
8 4 7
5 6 1

이제 학생의 만족도를 구해야 한다. 학생의 만족도는 자리 배치가 모두 끝난 후에 구할 수 있다. 학생의 만족도를 구하려면 그 학생과 인접한 칸에 앉은 좋아하는 학생의 수를 구해야 한다. 그 값이 0이면 학생의 만족도는 0, 1이면 1, 2이면 10, 3이면 100, 4이면 1000이다.

학생의 만족도의 총 합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2개의 줄에 학생의 번호와 그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 4명의 번호가 한 줄에 하나씩 선생님이 자리를 정할 순서대로 주어진다.

학생의 번호는 중복되지 않으며, 어떤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 4명은 모두 다른 학생으로 이루어져 있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학생의 번호, 좋아하는 학생의 번호는 N2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어떤 학생이 자기 자신을 좋아하는 경우는 없다.

출력

첫째 줄에 학생의 만족도의 총 합을 출력한다.

제한

  • 3 ≤ N ≤ 20

예제 입력 1 복사

3
4 2 5 1 7
3 1 9 4 5
9 8 1 2 3
8 1 9 3 4
7 2 3 4 8
1 9 2 5 7
6 5 2 3 4
5 1 9 2 8
2 9 3 1 4

예제 출력 1 복사

54

예제 입력 2 복사

3
4 2 5 1 7
2 1 9 4 5
5 8 1 4 3
1 2 9 3 4
7 2 3 4 8
9 8 4 5 7
6 5 2 3 4
8 4 9 2 1
3 9 2 1 4

예제 출력 2 복사

1053

 

- mx와 my를 통해서 순회를 통해 정한다.

- 중복된 변수명을 쓰고 있지는 않은지에 대해 조심한다.

- 더 빠르게 구현하는 것을 연습하자

더보기
import sys

def pprint(arr):
    for line in arr[1:]:
        print(line[1:])

def sol():
    answer = 0
    N = int(sys.stdin.readline().strip())
    sit = [[0] * (N+1) for _ in range(N+1)]

    mx = [1, 0, -1, 0]
    my = [0, 1, 0, -1]

    likes = {}
    
    for _ in range(N**2):
        p, like = sys.stdin.readline().strip().split(" ", 1)
        likes[p] = like.split(" ")

        results = []
        MaxValue = 0
                    
        for x in range(1, N+1):
            for y in range(1, N+1):
                if sit[x][y] == 0:
                    LikeCnt = 0
                    EmptyCnt = 0
                    #순회
                    for i in range(4):
                        tx = x + mx[i]
                        ty = y + my[i]
                        if 0 < tx <= N and 0 < ty <= N:
                            if sit[tx][ty] in likes[p]:
                                LikeCnt += 1
                            elif sit[tx][ty] == 0:
                                EmptyCnt += 1

                        if LikeCnt > MaxValue:
                            MaxValue = LikeCnt
                            results = [(EmptyCnt, x, y)]
                        elif LikeCnt == MaxValue:
                            results.append((EmptyCnt, x, y))


        # print(MaxValue, sorted(results, key=lambda x: (-x[0], -x[1], x[2], x[3])))
        emptyCnt, x, y = sorted(results, key=lambda x: (-x[0], x[1], x[2]))[0]
        
        # print(cnt, x, y)
        sit[x][y] = p
    # pprint(sit)
    score = {0: 0, 1: 1, 2:10, 3:100, 4:1000}
    # print(likes)
    for x in range(1, N+1):
        for y in range(1, N+1):
            cnt = 0
            for i in range(4):
                tx = x + mx[i]
                ty = y + my[i]
                if 0 < tx <= N and 0 < ty <= N:
                    if sit[tx][ty] in likes[sit[x][y]]:
                        cnt += 1
            answer += score[cnt]
            # print(cnt)
    return answer
print(sol())

 

'ComputerScience >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순위 - python3  (0) 2022.03.25
[백준 9613] GCD 합 - python3  (0) 2022.03.22
[백준14567] 선수과목 - python3  (0) 2022.03.15
[백준 2630] 색종이 만들기 - python3  (0) 2022.03.11
[프로그래머스] 디스크 컨트롤러 - python3  (0) 2022.03.03
    'ComputerScience/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프로그래머스] 순위 - python3
    • [백준 9613] GCD 합 - python3
    • [백준14567] 선수과목 - python3
    • [백준 2630] 색종이 만들기 - python3
    Roothyo
    Roothyo
    개발 관련 지식 포스팅/ 잡담 블로그 입니다. 반갑습니다! (github : https://github.com/geun9716)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