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thyo
루시오의 Devlog
Roothyo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92)
    • ComputerScience (56)
      • 자료구조 (1)
      • 알고리즘 (6)
      • 네트워크 (12)
      • 코딩테스트 (34)
      • AI & ML (1)
      • BlockChain (1)
      • Security (1)
    • Programming Language (8)
      • JavaScript (8)
      • Python (0)
    • 서비스개발(Web, App) (18)
      • Front-End (2)
      • Back-End (8)
      • Cloud Server (2)
      • DevOps (4)
    • 프로젝트 (9)
      • UNY (4)
      • ThrowOrNot (4)
      • MoA (1)
    • 잡담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애자일프로젝트
  • Redis
  • 완전탐색
  • github
  • OpenVidu
  • Socket.io
  • 클라우드서버
  • Python
  • Python3
  • TLS
  • node.js
  • 비디오광고
  • js
  • level2
  • FRONT-END
  • Vast
  • 프로그래머스
  • VPAID
  • 네트워크공부
  • 네트워크
  • 알고리즘
  • Nest.js
  • 코테
  • nodejs
  • vmap
  • chat
  • 코딩테스트
  • JavaScript
  • Node
  • 백준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Roothyo
ComputerScience/코딩테스트

[프로그래머스] 디스크 컨트롤러 - python3

[프로그래머스] 디스크 컨트롤러 - python3
ComputerScience/코딩테스트

[프로그래머스] 디스크 컨트롤러 - python3

2022. 3. 3. 14:17
  • 디스크 컨트롤러
문제 설명

하드디스크는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 컨트롤러를 구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요청이 들어온 순서대로 처리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 0ms 시점에 3ms가 소요되는 A작업 요청
- 1ms 시점에 9ms가 소요되는 B작업 요청
- 2ms 시점에 6ms가 소요되는 C작업 요청

와 같은 요청이 들어왔습니다. 이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한 번에 하나의 요청만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작업을 요청받은 순서대로 처리하면 다음과 같이 처리 됩니다.

- A: 3ms 시점에 작업 완료 (요청에서 종료까지 : 3ms)
- B: 1ms부터 대기하다가, 3ms 시점에 작업을 시작해서 12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11ms)
- C: 2ms부터 대기하다가, 12ms 시점에 작업을 시작해서 18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16ms)

이 때 각 작업의 요청부터 종료까지 걸린 시간의 평균은 10ms(= (3 + 11 + 16) / 3)가 됩니다.

하지만 A → C → B 순서대로 처리하면

- A: 3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3ms)
- C: 2ms부터 대기하다가, 3ms 시점에 작업을 시작해서 9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7ms)
- B: 1ms부터 대기하다가, 9ms 시점에 작업을 시작해서 18ms 시점에 작업 완료(요청에서 종료까지 : 17ms)

이렇게 A → C → B의 순서로 처리하면 각 작업의 요청부터 종료까지 걸린 시간의 평균은 9ms(= (3 + 7 + 17) / 3)가 됩니다.

각 작업에 대해 [작업이 요청되는 시점, 작업의 소요시간]을 담은 2차원 배열 job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작업의 요청부터 종료까지 걸린 시간의 평균을 가장 줄이는 방법으로 처리하면 평균이 얼마가 되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단, 소수점 이하의 수는 버립니다)

제한 사항
  • jobs의 길이는 1 이상 500 이하입니다.
  • jobs의 각 행은 하나의 작업에 대한 [작업이 요청되는 시점, 작업의 소요시간] 입니다.
  • 각 작업에 대해 작업이 요청되는 시간은 0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각 작업에 대해 작업의 소요시간은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하드디스크가 작업을 수행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먼저 요청이 들어온 작업부터 처리합니다.
입출력 예
jobs return
[[0, 3], [1, 9], [2, 6]] 9
입출력 예 설명

문제에 주어진 예와 같습니다.

  • 0ms 시점에 3ms 걸리는 작업 요청이 들어옵니다.
  • 1ms 시점에 9ms 걸리는 작업 요청이 들어옵니다.
  • 2ms 시점에 6ms 걸리는 작업 요청이 들어옵니다.

- 가장 애태웠던 문제로 결국 해결하지 못한 문제 중에 하나이다.

- 1초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과 jobs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 2가지만 생각했는데, 해답은 그 둘을 같이 사용하는데에 있었다.

- 나중에 다시 잘 도전해 봐야겠다.

더보기

 

import heapq as hq

def solution(jobs):
    answer = 0
    h = []
    end, cnt = 0, 0
    start = -1
    while len(jobs) > cnt:
        for job in sorted(jobs):
            if start < job[0] <= end:
                print(job)
                hq.heappush(h, (job[1], job[0]))
        if h:
            time, st = hq.heappop(h)
            start = end
            end += time
            print(start, end, time)
            answer += (end - st)
            cnt += 1
        else:
            end += 1
    answer = answer // len(jobs)
    return answer

'ComputerScience >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14567] 선수과목 - python3  (0) 2022.03.15
[백준 2630] 색종이 만들기 - python3  (0) 2022.03.11
[프로그래머스] 튜플 - python3  (0) 2022.02.22
[프로그래머스] 거리두기 확인하기 - python3  (0) 2022.02.21
[프로그래머스] [1차]뉴스클러스터링 - python3  (0) 2022.02.19
    'ComputerScience/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준14567] 선수과목 - python3
    • [백준 2630] 색종이 만들기 - python3
    • [프로그래머스] 튜플 - python3
    • [프로그래머스] 거리두기 확인하기 - python3
    Roothyo
    Roothyo
    개발 관련 지식 포스팅/ 잡담 블로그 입니다. 반갑습니다! (github : https://github.com/geun9716)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