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thyo
루시오의 Devlog
Roothyo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92)
    • ComputerScience (56)
      • 자료구조 (1)
      • 알고리즘 (6)
      • 네트워크 (12)
      • 코딩테스트 (34)
      • AI & ML (1)
      • BlockChain (1)
      • Security (1)
    • Programming Language (8)
      • JavaScript (8)
      • Python (0)
    • 서비스개발(Web, App) (18)
      • Front-End (2)
      • Back-End (8)
      • Cloud Server (2)
      • DevOps (4)
    • 프로젝트 (9)
      • UNY (4)
      • ThrowOrNot (4)
      • MoA (1)
    • 잡담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코딩테스트
  • nodejs
  • 프로그래머스
  • 완전탐색
  • 코테
  • Nest.js
  • OpenVidu
  • Vast
  • chat
  • 알고리즘
  • Python
  • Python3
  • 비디오광고
  • Node
  • 애자일프로젝트
  • FRONT-END
  • level2
  • js
  • TLS
  • JavaScript
  • 클라우드서버
  • VPAID
  • 네트워크공부
  • Socket.io
  • github
  • 네트워크
  • vmap
  • node.js
  • Redis
  • 백준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Roothyo
ComputerScience/코딩테스트

[프로그래머스] 가장 먼 노드 - 그래프

[프로그래머스] 가장 먼 노드 - 그래프
ComputerScience/코딩테스트

[프로그래머스] 가장 먼 노드 - 그래프

2022. 1. 14. 14:15
문제 설명

 

n개의 노드가 있는 그래프가 있습니다. 각 노드는 1부터 n까지 번호가 적혀있습니다. 1번 노드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노드의 갯수를 구하려고 합니다. 가장 멀리 떨어진 노드란 최단경로로 이동했을 때 간선의 개수가 가장 많은 노드들을 의미합니다.

노드의 개수 n, 간선에 대한 정보가 담긴 2차원 배열 vertex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1번 노드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노드가 몇 개인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노드의 개수 n은 2 이상 20,000 이하입니다.
  • 간선은 양방향이며 총 1개 이상 50,000개 이하의 간선이 있습니다.
  • vertex 배열 각 행 [a, b]는 a번 노드와 b번 노드 사이에 간선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입출력 예
n vertex return
6 [[3, 6], [4, 3], [3, 2], [1, 3], [1, 2], [2, 4], [5, 2]] 3
입출력 예 설명

예제의 그래프를 표현하면 아래 그림과 같고, 1번 노드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노드는 4,5,6번 노드입니다.


- 7, 8, 9번의 시간초과를 해결하는게 핵심인 문제였다.

- 그래프를 표현하는 방식에 인접행렬과 인접리스트 2가지로 해결하는 방식이 있는데, 인접리스트의 시간 복잡도가 현저히 줄어드는 편이다.

- 거리를 적는 dist 배열을 통해서 visited를 대체할 수 있다.

더보기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solution(n, edge):
    answer = 0
    graph = dict([(i, []) for i in range(1, n+1)])
    for x, y in edge:
        graph[x].append(y)
        graph[y].append(x)
    
    M = 0
    
    #BFS
    st = deque([(1, 0)])
    visited = []
    dist = [0 for _ in range(n+1)]
    
    while st:
        cur, cnt = st.popleft()
        # print(cur, cnt)
        
        #check in
        if dist[cur] > 0:
            continue
        dist[cur] = cnt
        M = max(M, cnt)
        
        #Can go?
        for nxt in graph[cur]:
            if nxt != 1 and dist[nxt] == 0:
                st.append((nxt, cnt+1))
        
    answer = dist.count(M)
    return answer

 

'ComputerScience > 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1차]뉴스클러스터링 - python3  (0) 2022.02.19
[프로그래머스] 신고 결과 받기 - python3  (0) 2022.02.15
[프로그래머스] 단어 변환(DFS/BFS)  (1) 2021.12.29
[프로그래머스] 네트워크 (DFS/BFS)  (2) 2021.12.29
[프로그래머스] 문자열 압축 - python3  (0) 2021.07.20
    'ComputerScience/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프로그래머스] [1차]뉴스클러스터링 - python3
    • [프로그래머스] 신고 결과 받기 - python3
    • [프로그래머스] 단어 변환(DFS/BFS)
    • [프로그래머스] 네트워크 (DFS/BFS)
    Roothyo
    Roothyo
    개발 관련 지식 포스팅/ 잡담 블로그 입니다. 반갑습니다! (github : https://github.com/geun9716)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